<Too tight in my jeans>
Exhibition by Capucine Merle.
2025.06.06 ~ 2025.06.18
In the bottom of my pocket,
*“The sun has a date with the moon
But the moon doesn’t know it.”
I count there
Two gold-silver buttons
An orchid
A sunfish
And a warm sorrow.
* part of < Le Soleil et la Lune > by Charles Trenet.
<Too tight in my jeans> began with a move — the artist’s arrival in Seoul. Capucine Merle allowed herself to get lost in this new environment, drifting between confusion and focus, open to whatever the unknown might bring. In that floating state, she held on to simple, familiar things — quiet an- chors that carry shared, collective meanings.
In this exhibition, Capucine brings together everyday utilitarian objects — related to care, hygiene, and food — that hold both personal and collective memory. These items act as reminders, steady- ing the ground beneath her. At the same time, her practice is shaped by repeated gestures: twist- ing, tying, sticking. Sometimes almost compulsive, these actions become a way to build within instability. They express a gentle tension — a need to stay afloat despite what’s spilling over or missing.
Through sculpture and installation, Capucine Merle creates a space suspended between refuge and drift. Each element becomes a piece of an imagined home. <Too tight in my jeans> is about being squeezed in, out of place — but still standing. The exhibition unfolds like a fragmented story, traced along sky lines. Electric messages, a central installation, acts as a guiding thread among the stars.
내 주머니 밑바닥에서
*“해는 달과 만남을 가지지만
달은 그것을 모른다.”
나는 거기서 세어본다
금은 단추 두 개
난초 한 송이
개복치 한 마리
그리고 따뜻한 슬픔.
* 샤를 트르네의 < Le Soleil et la Lune > 중.
<Too tight in my jeans>는 카푸신 메를이 서울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카푸신은 새로운 환경에서 길을 잃고, 혼란과 집중 사이에서 표류하며, 미지의 세계가 불러올 수 있는 모든 것에 자신을 열어두었다. 그 부유하는 상태에서 작가는 단순하고 친숙한 것들, 즉 공유되고 집단적인 의미를 지닌 조용한 닻을 붙잡는다.
이번 전시에서 카푸신은 돌봄, 위생, 음식과 관련된, 개인적이면서도 집단적인 기억을 담은 일상적이고 실용적인 오 브제들을 선보인다. 이는 기억을 상기시키며, 우리의 내면을 안정적으로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그녀의 작 업은 비틀고, 묶고, 붙이는 등 반복적인 행위로 형성된다. 때때로 강박에 가까운 이 행위들은 불안정성 속에서 자신 을 구축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흘러내리거나 없어지더라도 물에 뜨지 않으려는 부드러운 긴장감을 표현한다.
카푸신메를은조각과설치를통해피난처와표류사이에부유하는공간을창조한다.각요소는상상속집의일부이 기도 하다. 이번 전시는 제자리를 벗어난, 그러나 여전히 서있는 것에 관한 이야기이다. 하늘의 선을 따라 파편화처 럼 펼쳐진 이야기들. 중앙에 설치된 전기 메신저(Messages électriques)는 별들 사이에서 안내자 역할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