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IN THE PROFESSIONALS>
Exhibition by ENTERPRISE.
2025.03.22~ 2025.04.21
Part showroom, part storage room the gallery space of ‘studiya' functions as a recruitment center, an active site of induction into the speculative workforce, navigating questions of corporate identity and invisible hierarchies. Showcasing the aesthetics of labor, it becomes apparent that these are never neutral. Individualisation in the workplace might seem like a means of individual expression, yet it seems to merely be a form of self-discipline. Under the guise of self-definition, it operates as a mechanism of control, instructing the ways individuals position themselves within corporate structures.
JOIN THE PROFESSIONALS examines the shifting landscape of corporate identity through the lens of clothing. Over the past decades, the uniform of laborers has steadily eroded, replaced by an illusion of individuality that masks the deepening weight of systemic structures. The burden of cohesion, once externalised through strict dress codes and visible hierarchies, is now placed on the worker. Employees must construct and maintain their own professional personas, curating an image of competence, ambition, and adaptability in accordance with shifting corporate expectations. But in the absence of a formal dress code, hierarchy does not disappear—it simply retreats into an invisible and more insidious game of internal positioning.
In response, ENTERPRISE proposes the return of the corporate uniform—not as a regression, but as a deliberate act of structural clarity. Borrowing from the military concept of fatigues—work garments that, through repeated use, bear the weight of labor—corporate fatigues offer an explicit framework for hierarchy, stripping away the deceptive rhetoric of flattened structures. When dress codes were abandoned, power did not dissolve; it simply became harder to locate, embedded in self-imposed performances of competence, taste, and status. The contemporary worker, under the guise of freedom, is left to navigate an unwritten system of coded markers—subtle displays of ambition, alignment, and belonging— where hierarchy is omnipresent yet unspoken.
By reinstating the uniform, ENTERPRISE makes power visible once again. In doing so, it removes the burden of self-regulation and exposes the mechanics of authority, making professional hierarchies explicit rather than concealed within performative corporate cultures. Without the illusion of flat structures, power is no longer negotiated through invisible social codes but asserted through clear, externalised markers of rank and role. The corporate uniform does not just signify position—it clarifies who holds authority and who follows, eliminating the ambiguity that allows power to operate unchecked. With hierarchy made visible, control is exercised openly rather than through silent exclusions or unwritten expectations. The terms of engagement are at least clear.
이번 전시에서 전시장이자 창고의 역할을 하는 '스투디야'는 기업의 정체성과 보이지 않는 위계에 대한 질문을 탐색하며, 투기적 노동력 유입의 활발한 현장인 채용 센터로써 기능한다. 작가는 노동의 미학을 선보이며, 그것이 결코 중립적일 수 없음을 강조한다. 직장에서의 개인주의는 개인의 표현 수단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자기 단련의 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개인의 자율성을 가장한 통제 메커니즘으로써 작동하며, 기업 구조 내에서 개개인이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규정 짓는다.
<JOIN THE PROFESSIONALS>는 '의복'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변화하는 기업 정체성의 흐름을 탐구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노동자들의 유니폼은 꾸준히 약화되어 왔으며, 조직 구조의 심화되는 부담을 가리는 개성이라는 환상으로 대체되었다. 한때 외부화되었던 결속의 부담은 오늘날 개인에게 전가되고 있다. 조직원들은 변화하는 기업의 기대에 따라 능력, 야망, 적응력을 갖춘 이미지를 구축하여, 자신만의 전문적인 페르소나를 만들고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공식적인 복장 규정이 없다고 해서 계층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보이지 않는 더 교묘한 내부 포지셔닝 게임으로 후퇴할 뿐.
이에 대해 엔터프라이즈는 퇴행이 아닌 구조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의적인 행위로서 기업 유니폼의 복귀를 제안한다. 군에서 사용하는 'Fatigue (반복적인 사용으로 노동의 무게를 견디는 작업복)라는 개념을 차용한 기업의 유니폼은 평평한 구조의 기만적인 미사여구 (꽃)를 없애고 계급 구조에 대한 명시적인 틀을 제공한다. 복장 규정이 사라졌다고 해서 권력이 해체된 것 아니라 능력, 취향, 지위 등 자의적으로 부과된 기준에 묻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려워졌을 뿐이다. 현대의 노동자들은 자유를 가장한 채 야망, 정렬, 소속감의 미묘한 표출이라는 불문율의 체계, 즉 계층화가 만연하지만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시스템을 탐색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엔터프라이즈는 유니폼을 복원함으로써 다시 한 번 권력을 가시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율 규제의 부담을 줄이고 권위의 메커니즘을 드러냄으로써 성과주의적 기업 문화 속에 숨겨져 있던 전문적 위계 질서를 명시적으로 드러낸다. 평면적 구조의 환상이 사라지면서 권력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 사회적 규범을 통해 협상되는 것이 아닌, 명확하고 외부화된 직급과 역할의 표식을 통해 결정된다. 유니폼은 단순히 직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누가 주도권을 갖고 누가 따르는지를 명확히 함으로써 권력이 무분별하게 작동할 수 있는 모호함을 제거한다. 위계가 명확해지면 암묵적인 배제나 묵시적인 기대감 없이 공개적으로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적어도 업무수행 조건은 명확해질 것이다.








